McGavran 박사는 한국 선교운동이 한창 시작될 무렵에 벌써 한국선교의 취약점 중의 하나가 선교지 확보 문제라고 언급한 바 있다. 선교사를 어디로 보낼 것인가는 질문에 대한 해답은 과거에도 얻기 어려웠고 지금도 쉽게 얻을 수 없는 실정이다.
허드슨 테일러는 하나님이 주신 비전에 따라서 내륙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했다. 훗날 션교역사가들은 이를 ‘내륙선교운동 (lnland Mission Movement)”이라 했다. 그때만 해도 해변가에만 션교사들이 있었으며 내륙으로 들어가는 것은 너무 위험했으므로 상식으로는 용납하기 힘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 그 내륙선교운동을 통하여 새로운 지역으로 선교사를 배치하는 일을 하셨다. 이런 배치전략은 논리적으로 얻어진 것이라기 보다는 비전을 받아서 세워진 것으로 간주된다.
반면에 미전도종족운동은 연구와 논리에 입각하여 세워진 배치전략이다.
멀리는 카메룬 타운센드 같은 분들이 성경번역을 통하여 미전도종족을 찾아나섬으로 시작되었으며 가깝게는 프론티어 선교운동 (Frontier Mission Movement) 선고자 중 하나인 랄프 윈터 박사의 강조와 로잔운동의 후속조치 등을 통하여 이 운동이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추수지역에서 주로 선교사들을 먼저 파송해야 한다는 맥가브란(McGavraan)의 교회성장이론도 역시 선교사 배치전략 중의 하나이다. 이제는 맥가브란이 없는 상황 중에서 미전도종족전략에 의해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아직도 완전히 죽은 전략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간단한 내용으로 보아도 선교사 배치전략은 간단하게 세워질 수 없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도 선교사 배치를 위한 전략수립을 위한 하나의 시도에 불과하다.
I. 선교사 배치에 대한 역사적인 논란
1. 서구선교의 교훈
2. 한국선교의 현장
1) 한국이 처한 현상태
2) 한국 선교사의 배치에 있어 유리한 점
3) 한국선교사 배치상의 문제점
3. 한인선교의 위치
II. 배치를 위한 준비
1. 처녀지를 개척할 경우
1) 연구
2) 행정적 준비
3) 선발대 파송
2. 선교지에 선교사가 이미 배치된 경우
1) 현지선교사의 판단의 우선권 부여 (현지팀의 성격고려, 현지팀의 전략과의 연관성)
2) 교회의 역할
3) 선교본부의 역할
III. 선교사 배치원칙
1. 종교 블록별 선교사 배치
2. 유사 블록으로부터의 접근법
3. 지역별 배치
4. 전문성에 의한 배치
5. 전문인 선교사 배치
6. 국내 거주 외국인을 위한 사역자 배치
IV. 배치를 위한 통로
1. 국제선교기관을 통한 배치
2. 한국교단 및 선교단체를 통한 배치
3. 현재체제나 현지교회를 통한 배치
V. 결론
|